유난히 더웠던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누가 뭐래도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지 않나요?
이제 집에 있는 책장으로 가서 정리를 시작해볼까요? 주제별, 작가별, 장르별, 표지색상 등 정리 기준이 다양해서 그냥 마음에 드는 기준으로 정리하겠습니다. 나름의 질서를 유지하면서 가지런히 정리된 책장을 보고 있으면 가을의 정취가 마음속 깊이 스며듭니다. 정리하다 보면 책장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책들이 생기게 됩니다. 책을 재활용품 쓰레기통에 버리면 왠지 서운한 마음이 들고, 책장에 놔두면 자리가 없어진다. 이제 프로젝트가 시작됩니다.
도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마지막 페이지를 열어 출간일을 확인해보세요. 지난 5년 이내에 출판된 모든 책이 프로젝트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최신의 정보를 다루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5년 이내의 자격요건이 있습니다. 자격요건을 충족하더라도 너무 사용감이 크거나 페이지가 부족하다고 느끼시면 아쉽게도 프로젝트 참여가 어렵습니다.
이제 집 근처 지역 도서관을 검색해 보세요. “로컬” 라이브러리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서구 내 소규모 도서관이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곳이 많기 때문이다. (강서구통합도서관)▽▽▽
강서구 통합도서관은 도서관 정보는 물론 다양한 문화강좌와 이색 이벤트 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lib.gangseo.seoul.kr
여러 권의 책은 무거워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찾아봅니다. 책을 들고 지역 도서관을 방문하세요. 도서기증 의사를 안내데스크나 사무실 담당자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출판된 지 5년 이내의 좋은 상태의 책을 도서관에 기증하고 싶습니다!
나머지는 도서관 직원들이 원활하게 처리해드릴 테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지식을 세계와 공유한다는 자부심을 누리는 것뿐입니다.
도서기증에는 정해진 기간이 없으므로 개인이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도서관에서 도서를 기증할 수 있습니다. 기증된 도서는 심사를 거쳐 도서관에 보관되며, 상황에 따라 다른 도서관이나 타 기관에 재기증될 수도 있습니다.
강서구 곳곳에는 수많은 책장이 생길 것이고, 그 곳에 조용히 잠들어 있던 소중한 책들을 도서관으로 꺼내어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면 올 가을은 모두에게 더욱 풍성하게 느껴질 것입니다. 책을 통해 너와 나, 나와 도서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가을을 꿈꾼다. 강서 까치뉴스 배성혜 명예기자